한 달 간의 소식을 전하는 GEP Monthly Letter입니다.
GEP Monthly Letter
Vol.7|2025.03 |
|
|
☀️☀️☀️
태양광, 쨍하고 빛나는 날
BloombergNEF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태양광 균등화 발전비용(LCOE)이 최저 수준으로 하락해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었다고 합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27년까지 추가되는 글로벌 전기수요 중 절반 가량을 태양광이 담당할 것으로 전망했다고 하는데요. 이런저런 이슈들이 있지만, 태양광을 위시한 재생에너지 확대는 이미 전세계적인 추세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같은 흐름은 한국에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11차 전기본 확정안과 에너지 3법에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산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이번 GEP Monthly Letter에서 그 주요 내용과 시사점을 짚어보려 합니다. 봄 기운 가득한 3월의 Monthly Letter 출발합니다 ! 🚀🚀
|
|
|
📌 미국O&M, O&M Safety 2025 및 Intersolar & Energy Storage North America 전시회 잇단 참가
미국 O&M이 Nashville에서 개최된 'O&M Safety 2025'에 참여했습니다. Head of O&M인 Patrick Allen은 "Solar Success: Expert Strategies for Peak Performance and Reliability" 세션의 패널로 참석했으며, BD팀은 업계 리더 및 관계자들과 교류하며 소통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San Diego에서 열린 'Intersolar & Energy Storage 2025'에도 참가해 고객사 미팅을 진행했는데요. 앞으로도 다양한 업계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더 많은 고객과 소통하고 비즈니스 확장 기회를 넓혀가길 기대합니다. 🚀
|
|
|
📌 그린에너지사업팀, 3월 말 아모레퍼시픽 자소용 PV 두 곳 사용전검사 예정
그린에너지사업팀 사업수행그룹이 진행하는 아모레 오산 GDC(1MW)와 대전 DB(0.6MW) 자가소비형 태양광 프로젝트가 3월 말 사용전검사를 앞두고 있습니다. 두 곳의 사용전검사가 완료되면 아모레퍼시픽 프로젝트는 김천물류 자가소비형 태양광만을 남겨두게 되는데요. 앞서 지난해 말에는 뷰티파크와 용인 R&I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바 있습니다.
현재 김천 물류 자가소비형 태양광은 용량 증설 논의중으로 5월 말 사용전검사를 목표로 진행 중입니다. 현장에서 최선을 다하고 계신 담당자분들께 깊이 감사드리며, 안전하고 꼼꼼한 마무리 부탁드립니다! 💪☀️
|
|
|
2월 입사자 여러분, 환영합니다 🙋♂️🙋♀️
지난 2월에는, 미국에서 다섯분의 GEP CREW가 신규입사자로 합류하셨습니다. |
|
|
미국O&M
- Field Operations Miquel Padilla, John Rodriguez, Antonio Sigala
- HV/MV Services Dale Donovan
- ROC Cody Robinson
|
|
|
Energy Issue 🛎️
지난 2월 21일(금),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11차 전기본)이 확정된 데에 이어 27일(목)에는 에너지 3법의 통과 소식도 함께 전해지며 국내 재생에너지 확산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는데요. 이번 11차 전기본과 에너지 3법 통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
|
🔹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 무탄소 전원 및 재생에너지 목표 상향
전력수급기본계획은 향후 15년간 국가 전력 정책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마스터플랜으로, 전기사업법에 근거해 2년마다 수립·시행됩니다. 이번 11차 전기본은 2024년부터 2038년까지의 계획을 담고 있으며, 2024년 5월 실무안 발표 이후 확정안이 나오기까지 약 8개월이 소요되었습니다.
정부는 이번 11차 전기본을 통해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 전원’(원자력+재생에너지+청정수소·암모니아)의 비중을 확대하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풍력·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 목표가 상향 조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3년 39.1% → 2030년 53% → 2038년 70%로 무탄소 전원 비중 확대 (하단 그래프 참조)
✅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74GW 보급 (산업단지 태양광 확산, 이격거리 규제 완화, ESS 보강 등 정책 반영) ✅ 재생에너지 기반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달성 가능성 고려(2018년 대비 2030년까지 40% 감축 목표)
|
|
|
이번 계획에 대해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도 사실인데요.
✔️ 원전 확대 → 대형 원전 2기 및 SMR(소형모듈원전) 도입으로 재생에너지 대비 원자력 발전 비중 증가 ✔️ 송·변전망 및 해상풍력 인프라 구축 비용 고려 부족 → 전기요금 상승 가능성 및 실현 가능성 우려
그럼에도 불구하고 RE100, 탄소국경조정세 도입과 같은 글로벌 흐름을 고려할 때, 정부는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무탄소 전원 확대로 탄소중립을 적극 추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 전력 수요 급증에 대비한 ‘전력망 확충 특별법’ 도입
에너지 3법은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고준위 방폐장법, 해상풍력 특별법을 가르키는 말로, 각각 전력망 확충·방사성 폐기물 처리 체계화·해상풍력 발전 촉진을 목표로 합니다. 이 중에서 특히 GEP 사업과 관련이 깊은 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AI·반도체·전기차·데이터센터 산업 성장으로 인한 전력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곧 국가 경쟁력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 전력망 확충 특별법 주요 내용
✔️ 국무총리 소속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위원회’ 신설 ✔️ 5년 주기로 30년 단위 국가전력망 확충 계획 수립 ✔️ 전력망 확충법에 따른 인허가 절차 간소화 및 영향평가 특례 적용 ✔️ 국민 재산권 보호를 위한 차별화된 보상·지원책 마련
이번 법안이 통과되면서 정부와 산업계는 전력 공급망 안정성과 첨단산업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송전망 확보 과정에서 지역사회와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 향후 전망 및 시사점
📢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전력망 확충 특별법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 및 무탄소 전원 확대가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대응 가능 ✔️ 전력망 확충 → AI·반도체·데이터센터 산업의 안정적 전력 공급 기반 마련
향후 이 법안들이 국내 전력 인프라 및 재생에너지 확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더욱 주목해봐야겠습니다.
참고자료:
|
|
|
미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 TMEIC는 텍사스에 유틸리티 규모 태양광 인버터 제조 시설을 개설했으며, 2024년 11월 이후 300대 이상의 인버터를 생산했습니다. 이는 미국 내 제조업 확대 및 재생 가능 에너지 전환 가속화에 대한 지속적인 의지를 보여주며, 향후 설비 업그레이드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 태양광-농업(Agrivoltaics) 양모업 모델은 16~43%의 투자 수익률(ROI)을 보이며, 번식 중심 모델은 비수기 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EBITDA* 마진이 11% 더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태양광 시설 유지보수와 지속 가능한 토지 활용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EBITDA: 'Earnings Before Interse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약어로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 상각비를 제외한 이익
Industry Trends and Insights
|
|
|
한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산업용 전기요금 상승에...기업들의 전력조달방식 변경 의향 증가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전력조달방식을 변경하려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가용 태양광 설치, PPA 등의 조달방식이 산업용 전기요금보다 더 저렴하기 때문인데요. 산업용 전기요금 중에서도 중소기업이 주요 사용하는 산업용(갑)에 비해 대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산업용(을) 전기요금의 상승이 가팔랐습니다.
실제로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제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가발전소 설립 또는 전력도매시장 전기 구매' 의향을 묻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기업이 11.7%로 나타났습니다.
📍 REC 현물시장 폐지, 발전량 예측제도 일몰...전력시장 변화 가속화
최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공급의무화제도(RPS)를 개편하고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현물시장을 폐지하여 경쟁입찰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태양광에 집중된 재생에너지 발전원을 풍력, 수력 등으로 다변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업계에서는 재생에너지 보급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경매제 도입이 성급하다는 우려와 함께, 소규모 태양광 사업자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한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거래소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제도의 오차율 기준을 강화하는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해 오차 기준을 강화하고 정산금 규모를 줄인다는 것인데요. 이로 인해 중소 발전사업자들의 부담 증가와 기업 간 양극화 심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으며, 사업자 부담을 완화할 보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부·정책
경쟁사
|
|
|
❗ GEP Monthly Letter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
|
|
한화에너지 컨버전스사업부 그린에너지플랫폼사업
hanwhaconvergence.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