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간의 소식을 전하는 GEP Monthly Letter입니다.
GEP Monthly Letter
Vol.6|2025.02 |
|
|
🌱🌱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立春)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입춘이 지났음에도 한국의 날씨는 무척 춥네요. 연일 영하 10도에 가까운 추위가 계속되고 있으니 GEP CREW 여러분들도 건강 관리 유의하세요. 추운 겨울이 조금 지겨워도, 아침 저녁으로 조금씩 길어지는 해를 보면서 입춘이 건네주는 희망을 생각해봅니다. 이제는 정말 따뜻해질 일만, 봄이 올 일만 남았네요.
새해 첫 Monthly Letter는 사업부의 주요한 소식과 함께 'GEPeople Inside'라는 새로운 콘텐츠를 담아봤습니다. GEP Crew의 업무와 회사 생활을 들여다보는 인터뷰 시리즈입니다. 다가올 새 봄처럼 좋은 소식이 가득차길 바라며, 새해 첫 Monthly Letter를 시작합니다. 올해도 잘 부탁 드립니다! 🙇♂️🙇♀️
|
|
|
📌 미국O&M사업센터, Intersolar & Energy Storage North America 참가 예정
2025년 2월 25일부터 27일까지 San Diego에서 개최되는 Intersolar & Energy Storage North America에 미국O&M의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합니다. O&M 조직을 이끄는 Patrick Allen, Business Development Team Leader인 Matthew Rombouts와 같은 팀의 Manager인 Nick Reid가 컨버전스 미국 법인을 대표해 참가, 고객사들과의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위한 최신 에너지 기술, 서비스, 회사 및 조직을 조명하는 이번 전시회에서 좋은 성과를 이루고 돌아오시길 바라봅니다! 🙏
|
|
|
📌 IT시스템사업팀, ATLAS 6, 10, 11 SCADA/PPC 수주
IT시스템사업팀이 ATLAS Pjoject의 6, 10, 11의 SCADA/PPC 사업을 수주했습니다. 이로써 7, 9(BESS) / 2, 4, 5(PV)/ 4, 8(BESS)에 이어 ATLAS PROJECT를 전체적으로 수주, 수행하게 된 것인데요. 제안 예정인 기타 SCADA/PPC 사업들도 좋은 소식 들려주시기를 기원합니다. 🤟 |
|
|
📌 그린에너지사업팀 사업수행그룹, 태양광 공사 일부 재개
겨울 한파철을 맞아 잠시 중단되었던 사업수행그룹의 일부 태양광 구축 공사들이 재개됩니다. 2월 4일 아모레퍼시픽 자가소비용 태양광 구축 공사가 대전을 시작으로 오산, 김천까지 순차적으로 다시 시작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2월 초임에도 추운 날씨가 이어지고 있으니 건강 관리와 안전한 공사 진행에 만전을 기해주시길 바랍니다. 🙌 |
|
|
1월 입사자 여러분, 환영합니다 🙋♂️🙋♀️
미국에서 여섯분의 GEP CREW가 신규입사자로 합류하셨습니다. |
|
|
미국O&M사업센터
- Field Operations Michael Redman, Chavez Saleby, Jesse Madera, Luis Guerra, Jeremy Prince
- Technical Services Christopher Finkbiner
|
|
|
GEPEOPLE INSIDE🔎
나와 다른 사무실에서 일하는 다른 팀의 GEP 동료는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궁금하지 않으셨는지요? 궁금증을 해결해보고자, GEP Crew의 업무와 회사 생활을 들여다보는 인터뷰 시리즈 ‘GEPEOPLE INSIDE’를 시작합니다.
|
|
|
첫 주자는 서울 장교빌딩 사무실에서 근무하시는 IT시스템사업팀의 김명관 프로님입니다. 인터뷰 요청에 흔쾌히 응해주신 김 프로님은 인터뷰 당일에도 수 많은 미팅과 비즈니스콜로 바쁜 시간을 보내고 계셨는데요. 담당하고 계신 SCADA/PPC와 프로님의 하루를 보다 자세히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정확한 설명을 위해 자리에 함께해 주신 박주진 팀장님께도 감사 말씀 드립니다.🙏
🗨️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님께서 한화에너지 컨버전스 사업부에 어떻게 조인하게 되셨는지, 그 전까지 어떤 업무를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첫 직장은 한전기술(KEPCO E&C)이었습니다. 한수원이나 서부발전과 같은 한전 자회사 소유의 화력발전소, LNG발전소의 EPC 업무를 발주 받아 설계하고 공급하는 회사였죠. 발전소 BOP 계통별 I&C 부문 혹은 HMI(또는 MMI)* 계통 설계 업무를 담당했었어요. 당시엔 주기기 공급자에 해당하는 두산중공업이나 현대중공업, 효성과 같은 회사들과 업무를 했었구요. 그러다가 미국 Kansas city의 Burns & McDonnell이라는 회사에 1년간 파견 업무를 갔죠.
가서 보니 엔지니어링 업무의 중요도나 가치가 좀 더 인정 받는 분위기라 미국에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에 이런 저런 준비 끝에 오스틴 대학원에 진학했어요. Ph.D 공부를 하던 중 한국에 돌아와 지인 분의 사업을 돕다가, 좋은 타이밍에 한화에너지 컨버전스 사업부에 합류하게 됐습니다.
*BOP(Balance of plant): 원자력 발전소에서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등 1차 계통 이외의 설비로 터빈•발전기 등 2차 계통
I&C(Instrumentation and control power supply): 계측제어 공급계통. 발전소의 기기와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
HMI(Human Machine Interface): 공장/발전제어, 생산현장 등의 데이터를 감시, 제어, 분석하여 운전원 및 관리자에게 전달해주는 통합 Software 계통
🗨️ SCADA와 관련한 커리어를 쭉 이어 오셨었네요. 여기서 이 SCADA 라는 것이 쉽게 설명하자면 무엇일까요?
💬 (팀장님) 일반적으로는 공장, 우리 사업에서는 PV와 BESS를 운영하기 위한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이 SCADA라고 할 수 있어요.
SCADA는 장비들의 데이터를 다 가져오는 역할을 해요. 그런데 장비가 많고 다양하다 보니 통신 방식도 달라, 때에 따라 RTU(Remote Terminal Unit)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기도 합니다. 이런 RTU는 SCADA에 데이터를 보내주기 위한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고 보시면 되요.
현재 우리 사업에서는 Command를 실행하는 제어 역할은 PPC가 하고 있어요. PPC는 앞서 말한 RTU와 유사하게 데이터를 모으는 역할을 하지만, 로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다르죠. 계통에서 Command가 내려오면 그 로직에 따라서 PPC가 주 컨트롤 타겟인 BESS를 제어합니다.
|
|
|
🗨️ 어려운 개념을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GEP에 있어서 SCADA를 위시한 IT시스템사업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이라 생각하세요?
💬 (팀장님) 우리가 글로벌 O&M사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SCADA/PPC도 사업적 시너지로 인한 기회가 많다고 생각해요.
대부분의 업체들은 처음에 SCADA를 구축해 놓고 프로젝트에서 빠지게 되요. 나중에 유지보수가 필요할 때는 O&M업체가 해당 SCADA 업체에 연락해 Turn-over Package나 산출물과 같은 데이터를 따로 요청해서 받아 내용을 분석해요. 이렇게 되면 한 단계를 더 거쳐야 하다 보니 고객 입장에서는 시간도 더 들고, 비용도 좀 더 나가겠죠.
반면에 우리는 O&M 사업을 하면서, SCADA/PPC 담당 인력도 보유하고 있으니 다릅니다. 빠른 대응이나 비용 절감 면에서도 타사 대비 경쟁력 있죠. O&M팀 입장에서 발전소 관리는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고, 관련 인력이 내부에 있으니 다른 회사에 전화 걸 필요 없이 옆자리 SCADA/PPC 담당자에게 물어보면 돼요.
💬 (프로님) 팀장님께서 앞서 말씀하신 것처럼, O&M과 SCADA/PPC가 서로 다른 비즈니스지만 연계된 부분이 있어 고객 입장에서는 컨버전스 미국법인이 분명한 메리트가 있다고 생각하고요.
또한 SCADA 개발에 있어서 미국 사업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메리트 역시 굉장히 크다고 봅니다. ATLAS와 같은 GW급 PV, BESS 프로젝트들은 기존 컨벤셔널 발전소에 비해 폐기물 처리 비용이 들지 않아 유지보수 측면에서도 메리트가 있고, 태양광의 특성상 연료 공급이 필요 없어 부지선정 측면에 있어서도 좀 더 자유롭기 때문입니다.
앞서 제가 GW급 프로젝트를 언급했는데, 실제로 미국 출장 때 차량으로 매일 1시간 반 정도 걸려 ATLAS Project 발전소로 출퇴근을 했었거든요. 입구에서 Site까지 차로 15분~20분 걸릴 정도로 거대했습니다. 가는 길은 사방이 전부 PV 모듈이었구요.
🗨️ 현재는 어떤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계세요?
💬(프로님) ATLAS Project의 SCADA 엔지니어링을 담당하고 있고, 4~5월쯤 2,4,5 및 4,8의 FAT*가 예상됩니다. 구매한 장비들을 동탄 공장에 모두 설치하고, 구성될 SCADA 시스템을 고객에게 최종 컨펌을 받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컨펌이 완료되면 그 때 이 장비들을 Shipping해서 ATLAS site에 보내게 됩니다.
ATLAS 7,9의 경우 3월 쯤 미국 현지에서 SCADA 커미셔닝(Commissioning)이 진행될 예정이에요. 그 때부터가 진짜 시작이죠. 현장에서의 커미셔닝은 배터리 공급자인 LG에너지솔루션과 큐셀, 그리고 수 많은 기기 회사들의 담당자들과 합을 맞춰서 발전소 현장 시운전을 해야 하는 과정입니다. 아무래도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함께하는 협업과 조율이 제일 쉽지 않겠죠. 원활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올해 3분기 중에는 Texas 주재원 파견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FAT(Factory Acceptance Test): 발주하여 제작이 완료, 또는 마무리 단계에 있는 장비를 선적 또는 운송하기 전 제조사 현장에서 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 설계 도서 및 기타 사양서, 정해진 Acceptance Criteria 등 문서 확인 및 테스트 수행을 통해 검증하는 절차
|
|
|
🗨️ 미국 사업을 한국에서 담당하고 계시다 보니 출장도, 회의도 많으신 걸로 압니다. 일과가 어떻게 되시는지 궁금해요. 글로벌 팀으로 일하시는데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하고요.
💬 (팀장님) 대부분 아침 7시에 회의를 시작해요. 미국 시간에 맞춰야 하다 보니 아침 회의가 많고요. SCADA/PPC에 대한 미팅이 일주일에 공식적으로 한 번 정도 있고, EPC가 포함된 미팅이 하루 한 번,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있어요. 매일 진행하는 아침 7시 미팅에서 한 주 동안 진행했던 내용들을 확인하고, 플랜 리뷰와 향후 팔로우업 일정을 확인합니다.
문화적 차이는..글쎄요, 시차가 있긴 하지만 문화적 차이는 오히려 크게 느껴지지 않아요. 함께 일하는 Ahmed도 Tesla에서의 업무 경험이 있어서인지 열심히 일하는 게 오히려 한국 사람과 비슷하고요.
🗨️마지막으로 남기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요?
💬 미국에서 GW급 PV, BESS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게 어떻게 보면 새로운 챌린지잖아요. 이 분야에서 레퍼런스를 잘 쌓아가면 업계에서의 명성도 함께 쌓을 수 있을 것이고, 재생에너지에 강점을 가진 한화라는 그룹사가 엔지니어링 필드에서 더 알려지면 또 다른 브랜드 가치도 쌓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룹사 인재상 슬로건에 부합하는, 업무로써 도전을 거듭하는 Great Challenger가 되어 열심히 일하겠습니다.
|
|
|
미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 Pearce Services가 Unified Power를 인수하여 UPS(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서비스를 추가하고 데이터 센터와 같은 핵심 인프라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함으로써 전력 연속성 솔루션을 강화했습니다.
📍 미국은 수상 태양광에 상당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연방 관할 저수지에서 최대 861~1,042GW의 청정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탈탄소화 목표를 지원하고 재생 가능 에너지 인프라 확장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 태양광 패널 청소는 환경, 건강, 안전(EHS) 분야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표준화된 절차, 근로자 교육, 첨단 기술을 통해 위험을 완화하고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Industry Trends and Insights
- U.S. adds 3.8 GW of storage in Q3, residential battery storage hits all-time high
- US proposes waiver on ‘Build America, Buy America’ solar module policy for federal procurement
- A novel approach enables comparison of hundreds of generating capacity portfolios
- Antidumping investigation could more than double cost of U.S. EV battery, energy storage
- American Solar Manufacturing Is Back, and It's Big
- Off-grid solar-plus-storage could power data centers used for training AI models
- Rural electric co-ops receive $4.37 billion in clean energy funding
- NY utility approves battery storage project on shuttered nuclear site
- Unpacking solar-project data analytics
- Texas coal plant to switch to solar + storage by 2027
- The PV review, Q4 2024: Trump wins, more policies and tariffs, inverter manufacturers see downturn
- Solar industry thought leaders predict the future
- Major trends that shaped U.S. solar energy in 2024
- Technology Has Transformed Energy Deployment; O&M Is Next
- NV Energy adds new value to solar + storage in latest resource plan
- Potential floating solar generation is ‘ample’, widespread across U.S. reservoirs
- Solar panel cleaning: Emerging field in environment, health and safety
- Agrivoltaic pilot program announced in New Jersey
- Texas storms show industry’s solar hail defenses work
- Despite wind and solar’s low costs, PPAs remain vital
|
|
|
한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 한전과 산업부,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 제정에 속도...전력망 구축 기대
한국전력공사는 신년사에서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이하 전력망특별법)을 언급하고 신속한 제정을 위해 '건설·운영 프로세스 개선', '신공법·신기자재 개발'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산자부 역시 <2025년 산업통상자원부 업무계획>을 통해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추진할 계획임을 알렸는데요. 해당 문서는 재생에너지 관련 계획으로 '11차 전기본의 조속한 확정'과 'RPS 개편(재생에너지 경쟁입찰 도입)', '지역별 가격제 단계적 마련', '분산특구 지정', '육지에 배터리 ESS 중앙계약시장 개설' 등도 함께 언급하고 있습니다.
📍 SK어드밴스드 산업용 전력직접구매 신청에 전기위원회 '보류'... 2월 중 승인될까?
작년 11월, SK가스의 자회사인 SK어드밴스드가 한전을 거치지 않고 전력거래소로부터 직접 전력을 구매하는 '전력직접구매'를 최초로 추진했는데요. 1월 24일 전기위원회가 해당 안건에 대해 '보류' 결정을 내렸고, 2월 중에 다시 심의할 예정이라 합니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비록 한 차례 결정이 보류되었지만 전력 당국이 긴급하게 규칙개정을 진행하고 해당 안건을 전기위원회에 올린 것은 이번 건을 승인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업계에서는 SMP가 현재와 같이 140원대 이하로만 유지된다면 각종 수수료 포함해도 직접구매가 유리한 것으로 분석한다는데, 전력직접구매가 향후 시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해 봐야겠습니다.
정부·정책
경쟁사
|
|
|
❗ GEP Monthly Letter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
|
|
한화에너지 컨버전스사업부 그린에너지플랫폼사업
hanwhaconvergence.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