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달간의 소식을 전하는 GEP Monthly Letter입니다.
GEP Monthly Letter
Vol.5|2024.12 |
|
|
🙇♂️🙇♀️
GEP CREW 여러분, 올 한 해 고생 많으셨습니다
2024년이 이렇게 저물어가네요. 한 해 동안 고생하신 여러분께 감사의 인사 말씀을 먼저 올립니다. 각자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주신 GEP CREW 덕분에 2024년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올해 8월 시작한 GEP Monthly Letter도 GEP의 주요 소식과 정보를 전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아직까지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만 2025년에는 보다 의미 있는, GEP를 위한 콘텐츠를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하려 합니다. 이를 위해, 2024년을 마무리하는 12월을 맞아 업계 주요 기관이 내놓은 태양광 및 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한 2025년 전망을 간추려 살펴보았습니다. 그럼 12월의 GEP Monthly Letter, 출발합니다. 🚀🚀
|
|
|
📌 미국O&M사업, Technical Service 리플렛 제작 📖
재생에너지 자산 성능을 극대화하는 Technical Service의 리플렛이 제작됐습니다. Technical Service는 O&M 서비스를 보완하는 솔루션으로, PV, BESS가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Hanwha Convergence USA는 중·고압 테스트부터 장비 진단 및 모듈, 인버터, 변압기, 트래커, 변전소 장비까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보유해 고객별로 필요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데요.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리플렛으로 확인해보세요.
|
|
|
📌 IT시스템사업팀, Atlas 2,4,5 SCADA/PPC System 수주 🙌
Altas 2,4,5 PV Project의 SCADA/PPC System 수주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해당 Project는 '25년 6월까지 설계 및 제작이 완료되고, '25년 7월 설치 완료될 예정이라 하는데요. 12월 마지막 금요일에는 Atlas 4,5 BESS Project의 수주 소식까지 연이어 전해졌습니다. IT시스템사업의 본격적인 성장을 알리는 반가운 소식인 만큼, 향후에도 좋은 소식 들려주시기를 고대합니다. 🙏 |
|
|
📌 그린에너지사업팀 사업운영그룹, 써밋에너지 5MW O&M 프로젝트 수주 👍
지난달 Monthly Letter에서 잠시 언급해 드렸던, 써밋에너지 프로젝트 수주 및 계약이 완료되었습니다. 써밋에너지 프로젝트는 한화첨단소재 세종사업장, 음성사업장에 태양광 시설물을 설치하고, 한화솔루션이 재생에너지공급사업자로 참여하는 On-site PPA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 연말까지 수주 및 계약을 위해 노력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12월 입사자 여러분, 환영합니다 🙋♂️🙋♀️
네 분의 GEP CREW가 신규입사자로 합류하셨습니다. |
|
|
미국O&M사업센터
- O&M BD Maria Cristina Duenas
- Technical Services Brandon Asher
IT시스템사업팀
- TCS SCM 김동현 프로
- SCADA 김혜영 프로
|
|
|
2024년 태양광을 위시한 글로벌 재생에너지 시장은 기술 발전과 비용 절감, 정책적 지원이 맞물리며 산업 전반에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한 한 해였습니다. 2024년을 보내며, 업계 주요 기관의 보고서에 기반한 '2025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시장 전망'을 소개합니다.
1.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핵심, 태양광 성장 지속
태양광은 재생에너지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서, 비용 절감과 효율성 개선 등으로 그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S&P Global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까지 태양광은 재생에너지 발전량의 약 45%를 차지하며, 글로벌 에너지 믹스의 중심에 설 것으로 보입니다. 태양광 발전 비용은 MWh당 평균 35달러로, 10년 전보다 약 75% 낮아져 경제성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아시아, 북미, 유럽을 중심으로 신규 태양광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중국은 2025년까지 약 500GW의 태양광을 신규 설치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2. 안정적인 전력망을 위한 필수 요소, BESS 증가 태양광을 포함한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으로 인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또는 ESS)과의 결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BloombergNEF는 2025년까지 글로벌 BESS 설치 용량이 약 411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이는 2022년 대비 약 4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태양광 발전과 ESS의 결합은 전력망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재생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돕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BESS와 결합된 태양광 프로젝트가 급증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주는 2025년까지 약 15GW의 BESS 설치 목표를 발표하며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3. 정책과 규제가 가져오는 태양광 시장의 변화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은 태양광 프로젝트에 약 3,690억 달러(약 485조 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며, 태양광 및 BESS 프로젝트의 세제 혜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S&P Global 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가 IRA를 완전히 폐지할 가능성은 낮지만, 현 다수당인 공화당이 예산 조정 절차를 활용하여 최소한 IRA의 일부를 폐지할 가능성은 높다고 합니다. 유럽연합(EU)은 ‘Fit for 55’ 정책으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42.5%로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4. 태양광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투자 확대
태양광 프로젝트에 대한 글로벌 투자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S&P Global은 2023년 전 세계적으로 약 1조 1,000억 달러(약 1,450조 원)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되었으며, 이 중 상당 부분이 태양광에 집중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특히, Lightsource bp는 텍사스에서 445MW 규모의 태양광 프로젝트를 위해 약 3억 4,800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캘리포니아 커뮤니티 초이스 애그리게이터(CCAs)는 태양광 및 ESS에 1.2GW 규모의 오프테이크 계약을 체결하며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
|
|
미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 미국은 2024년 한 해 동안 태양광 발전 용량을 50GW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42% 성장한 것으로, 태양광 산업의 역대급 확장을 예고합니다.
📍 2023년 미국 기업들이 구매한 태양광 발전 용량은 총 55GW에 달하며, 주요 IT 기업들의 투자 금액만 약 170억 달러(한화 약 22조 원)에 이릅니다.
📍 2023년 한 해 동안 미국의 15개 주에서 태양광 발전 용량이 50% 이상 증가하며, 신규 용량 12GW를 추가했습니다.
📍 뉴욕주는 최근 2.3GW 규모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계약을 체결하며, 약 33억 달러(한화 약 4조 2천억 원)의 투자를 이끌어냈습니다.
📍 2023년 3분기 동안 미국 내 클린에너지 설치량은 9.6GW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5% 증가했습니다.
📍 미국은 최근 3GW 규모의 태양광 셀 생산을 시작했으며, 2025년까지 10GW 규모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공급망 안정화와 국내 제조업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됩니다.
📍 인공지능(AI) 기술의 태양광 시스템 통합이 본격화되며, 운영 효율성이 최대 15%까지 향상되고 있습니다.
Industry Trends and Insights
|
|
|
한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 전력거래소, 제주시범사업 결과 발표...재생에너지가 전력시장 가격 결정에 기여
전력거래소는 제주도에서 실시간 시장, 예비력 시장, 재생에너지 입찰시장 신규 도입을 위한 시범 사업을 지난 6월부터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력거래소 발표에 따르면 지난 6월 ~ 9월 시범사업에 참여한 재생에너지 설비 규모는 약 395.6MW이며 시범사업 중 하루전시장에서 9시간, 실시간 시장에서 37시간 가량 마이너스 가격이 기록되어 재생에너지가 전력시장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뿐만 아니라, 입찰시장에 참여한 재생에너지 자원들은 참여하지 않은 자원 대비 3원 이상 높은 정산금을 받았다고 합니다.
📍 태양광 제조업체 및 에너지 IT 기업, RE100 컨설팅 서비스 제공에 집중
재생에너지 업계 내 주요 플레이어들이 RE100 컨설팅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한화큐셀,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와 같은 태양광 제조업체들은 최근 개설된 RE100 중개시장에 발맞춰 RE100 서비스를 준비해왔으며 인코어드, 해줌, 엔라이튼과 같은 에너지 IT 기업들도 자체 IT 서비스를 개발해 RE100 컨설팅을 수요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후 위기에 따른 탄소 감축 이슈가 무역 규제 및 장벽으로 이어지는 만큼, 이 같은 흐름은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정책
경쟁사
|
|
|
❗ GEP Monthly Letter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
|
|
한화에너지 컨버전스사업부 그린에너지플랫폼사업
hanwhaconvergence.com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