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간의 소식을 전하는 GEP Monthly Letter입니다.
GEP Monthly Letter
Vol.10|2025.07 |
|
|
🌱☀️
벌써 7월? 아직 7월!
한 해의 반환점을 돌아 벌써 7월입니다. 장마도 건너뛰고 찾아온 무더위에 더욱 지치기 쉬운 요즈음, 모쪼록 건강관리 유의하시고요. 절반이나 지나간 7월을 맞아, 이번달에는 우리 GEP가 나아가는 방향을 함께 점검하고, 무엇을 보완해야 할지 정리해보는 건 어떨까 합니다. 2025년은 아직 절반이나 남았으니 말이죠.😉
7월 Monthly Letter는 재생에너지 확산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ESS의 주요 흐름을 짚어보겠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
|
|
|
📌 미국O&M, Brazoria Solar I 수주
6월 중순 TotalEnergies의 Brazoria Solar I (PV 325MW) 프로젝트 수주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제3자 사업의 수주 소식이 이어진다는 것은 컨버전스 미국법인의 기술력과 신뢰도가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는 증거일텐데요. 앞으로도 좋은 소식 많이 전해주시길 기대하겠습니다. 🎉 |
|
|
📌 IT시스템사업팀, Atlas 7,9 BESS SAT 진행중
Atlas 7,9 BESS가 미국 Atlas 사이트 현지에서 SAT를 진행 중입니다. SAT는 Site Acceptance Test의 약자로, SCADA 시스템이 실제 운영 환경에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현장에서 수행하는 테스트 입니다. Atlas 2,4,5(PV)와 8(BESS) SCADA 하드웨어도 출항하여 20일 경에는 Site에 도착 예정이라고 하네요. ⛵ |
|
|
📌 그린에너지사업팀, 아모레퍼시픽 김천 프로젝트 종료 앞둬
그린에너지사업팀 사업수행그룹이 자소형 PV 500kW의 사용전검사를 마치고 7월 초 프로젝트 종료를 앞두고 있습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 자소형 PV는 오창에서 공사를 이어가고 있는데요. 무더운 날씨에도 현장에서 애써 주시는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 |
|
|
6월 신규 입사자 여러분, 환영합니다 🙋♂️🙋♀️
GEP에 새롭게 합류한 신규입사자 분들을 소개합니다. |
|
|
미국O&M
- Field Operations Sheimal Khan, Anthony Figueroa, Deontae Shine
- Tech Services Earnest Rhymes, Dakota Wilcher, Jack Hernandez, Christopher Finkbiner, Jamison Rowell, Christian La Velle, Jose Nolasco, Felipe De La Rosa
- HV/MV Mejias Williams
- Business Development Sami Moussa
- Legal Coordinator Rachel Castleberry
- System Solutions Vagdevi Varanasi
IT시스템사업팀
|
|
|
글로벌 재생에너지 확산 흐름 속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가 전력망의 안정성을 확보를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용량은 2030년까지 1,500GW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배터리 기반 저장장치(BESS)가 90%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 하죠(현재 대비 약 15배 이상 증가한 수치). 이번 Monthly Letter에서는 ESS 시장이 주목받는 이유와 미국·한국의 주요 현황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
|
|
ESS 시장 성장의 3대 동력: 가격 하락, 계통 안정 수요, 정책 확대
ESS 시장의 성장 요인은 ✅ 배터리 가격 하락 ✅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계통 안정 수요 ✅정책 기반 확대 등이 있겠습니다.
2010년 대비 90% 이상 비용 하락으로 배터리 ESS의 경제성이 크게 개선됐고,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자원의 간헐성에 대비하여 안정적인 전력 수급을 위한 ESS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글로벌 에너지 연구기관 EMBER는 최근 ESS와 태양광 조합이 24시간 발전을 가능하게 하여 화석연료보다 저렴하고 유연한 기저 발전원의 역할 대신하는 국면으로 진입했다고 분석하고, 글로벌 BESS 시장의 성장성을 관망한 바 있습니다. 이 같은 흐름에 미국의 IRA*, 한국의 ESS 중앙계약시장 등 제도적 지원도 강화되며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 지난 7월 4일(한국시간), 미 상원을 통과한 세제개편안에는 재생에너지 세액공제(ITC/PTC)의 일부 조정이 포함됐습니다. 다만, 배터리 제조에 대한 첨단 제조 세액공제(AMPC)는 기존대로 2032년까지 유지됩니다.
|
|
|
빠르게 성장하는 미국 ESS 시장, 중앙계약시장 도입하는 한국
Wood Mackenzie & ACP(American Clean Power)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미국 ESS 신규 설치 용량은 2GW를 돌파했습니다. 이 중 유틸리티급 ESS가 1.5GW로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는데요. 주요 설치 지역도 기존의 캘리포니아, 텍사스에서 인디애나, 애리조나, 네바다 등으로 확산되고 있어, ESS가 재생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핵심 자원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ESS 중앙계약시장*’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있습니다. ESS 사업자가 전력거래소와 최대 15년간 장기계약을 체결하고, 한전 등 수요 기업이 정산금을 지급하는 구조이죠. 올해 상반기 공고 물량은 육지 500MW, 제주 40MW이고 올 하반기와 내년까지 추가로 2.1GW 규모가 공급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향후에도 탄소중립 2050 로드맵에 따라 2038년까지 총 23GW 규모의 ESS를 확충할 계획입니다.
*참고로 '23년 사용됐던 'BESS 중앙계약시장'이라는 명칭은 최근 'ESS 중앙계약시장'으로 변경되었네요. 장·단주기 BESS와 양수 등 기타 저장장치를 구분하기 위함이라는 전력거래소의 설명입니다.
이처럼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 인프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GEP 또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 참여하며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죠.
태양광과 ESS 기술 역량을 갖춘 우리 GEP가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든든한 파트너로 더욱 성장하길 기대해 봅니다.
|
|
|
미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Qcells가 미국 조지아 생산 거점 인근에 자사의 리사이클링 자회사인 ‘에코리사이클(EcoRecycle)’ 출범을 발표했습니다. 에코리사이클은 매년 최대 250MW 규모의 폐 태양광 모듈을 처리할 계획이며, 유리, 알루미늄, 은, 구리 등의 소재를 회수하게 됩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에서 완전한 순환형 태양광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통합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통해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기준을 충족하는 미국 내 제조를 지원합니다.
📍캘리포니아 공공유틸리티위원회(CPUC)는 BESS에 대한 새로운 종합 유지관리 기준을 승인했습니다. 이 기준은 통합된 유지보수, 운영, 사고 보고 프로토콜을 수립한 것으로, 민간 소유의 50MW 이상 시설에 적용되는 개정 일반명령에 해당합니다. 이를 통해 캘리포니아 에너지 저장 산업 전반에 걸쳐 안전성, 비상 대응, 규제 준수 보고 의무가 확대됩니다.
Industry Trends and Insights
|
|
|
한국 재생에너지 주요 뉴스 🗞️
📍 국정기획위, '대한민국 진짜성장을 위한 전략' 발표
국정기획위원회는 새 정부의 ‘진짜 성장’ 비전 아래 재생에너지 확대를 산업 성장의 중추로 강조했습니다. 보고서를 살펴보면, RE100 산업단지와 U자형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대규모 송전로) 건설, 지역 분산형 에너지 체계 구축 등을 언급하며 재생에너지 중심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려는 의지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후에너지부 신설, 한국판 IRA 도입 등 에너지 전환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입니다.
📍재생에너지와 AI 기술 도입
최근 국내 재생에너지 뉴스에서도 AI 관련 소식이 눈에 띄네요. 인코어드는 제조업 수요 반응(DR) 시장 대비 AI 기반 능동형 DR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으며, 엔라이튼과 인텔렉투스는 'Edge AI 기반 영상 분석 태양광 모니터링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며 실시간 설비 이상 감지와 안전성 확보를 추진 중입니다.
|
|
|
❗ GEP Monthly Letter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
|
|
한화에너지 컨버전스사업부 그린에너지플랫폼사업
hanwhaconvergence.com |
|
|
|
|